본문 바로가기

한국發 중국이야기

[지금 중국은]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장 “현지화 경영, 中 진출 성공 열쇠“

반응형

▲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장 ⓒ봉황망코리아 고경수 기자

【봉황망코리아】 유경표 기자="우리나라에선 중국 진출에 대해 말할 때, ‘현지화 전략’이라는 개념을 주로 얘기합니다. 그러나 이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현지화 경영’입니다”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은 지난 31일 <봉황망코리아>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는 기업들의 비결에 대해 이 같이 답했다.

‘현지화 경영’이란 단기적인 성격의 ‘현지화 전략’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중장기적인 비전과 함께, 사드 보복 등 리스크에도 버틸 수 있도록 하는 중국 현지에서의 기반 마련이 주요 골자다. 

박 소장은 "글로벌 기업들의 각축장인 중국 시장이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는데, 한국형 비즈니스 모델만을 고수하려 하면, ‘필패(必敗)’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브랜드 네임 벨류는 미국에 밀리고, 가격은 중국 업체에 밀리기 때문에 여차하면 가운데 낀 ‘샌드위치’ 신세로 경쟁력을 잃는다는 설명이다. 

며칠 전 중국 심천을 다녀왔다는 그는 인터뷰 중간마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그러면서 "10년 후 중국이 두렵다”고 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이 치열한 ‘무한경쟁’ 속에서 살아남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특히, 박 소장은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 우리 기업들이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말고, 벨류체인 변화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또 중국 진출에 성공하는 기업들의 모델은 다양하지만, 실패하는 사례를 살펴보면 비슷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 

Q: 최근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심화되는 양상입니다. 향후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계시는지요?

A: 저는 미·중무역분쟁을 ‘미국 대 중국’이 아닌, ‘트럼프 대 시진핑’의 대결로 봅니다. 두 리더가 튕기는 주판알은 다양합니다. 그러나 한판 크게 붙기 보다는 계속 ‘밀당’하며 지루한 싸움을 이어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두 나라는 경쟁관계이면서도 서로 필요한 관계이기 때문에 이번 미·중무역분쟁은 주도권을 잡기 위한 ‘자존심 싸움’의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됩니다. 

이러한 구도에서 우리나라가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이 전체 수출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수출다변화를 얘기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두 번째 문제입니다. 가장 우선해야 하는 것은 중국 시장에서의 벨류체인 구조를 어떻게 짜 맞출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Q: 1985년 프라자합의로 일본에 ‘잃어버린 20년’이라고 하는 장기불황이 왔던 것처럼, 미국이 중국의 버블을 건드릴 가능성은 얼마나 될 것으로 보십니까?

A: 중국에도 물론 버블이 있죠. 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버블은 조금 양상이 다릅니다. 중국 시장이 가진 제도적 특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베이징에는 ‘호구제’가 존재합니다. 베이징에 ‘호구’를 가지면, 자녀가 베이징대에 들어가기가 비교적 쉽고, 집을 사는 것도 수월합니다. 이런 특혜 때문에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1선 도시에 대한 수요가 끊이질 않습니다. 

또 중국 정부가 가진 파워와 영향력, 축적된 국부 등을 감안할 때, 버블이 꺼지더라도 그 충격은 일본이 무너지던 것과 달리,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 일본의 사례를 중국 정부도 이미 학습했을 것이고요. 

분명히 문제는 있겠지만, 중국 전체를 배로 비유했을 때 크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본문 첨부 이미지
▲ 박승찬 소장은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도 "한국식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벨류체인 변화를 모색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봉황망코리아 고경수 기자

Q: 이번엔 주제를 바꿔서 중국의 핀테크 산업에 대해 질문드리겠습니다. 중국이 ‘현금없는 사회’가 되고 있다는 말도 나오는데, 이처럼 중국에서 핀테크 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A: 중국의 모든 비즈니스 작동 매커니즘에는 중국 정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중국 관료사회에서는 "발전하면서 문제를 해결한다(发展中解决问题)"는 격언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국의 핀테크 산업도 먼저 기존 금융기관과 사용자 간 ‘교통정리’를 통해 각 기업이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고, 문제점이 나타나면 규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즉, 중국 정부가 주도적으로 금융과 IT업계 간 하드웨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 정부가 핀테크 분야 육성을 위해 과감히 규제를 줄이는 등 의지를 보이면서, 텐센트와 알리바바. 바이두 같은 공룡기업들이 생태계를 엮어내기 시작한 것이라고 봅니다. 물론, 중국 정부의 방향이 모두 옳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단순히 산업측면에서 봤을 때, 매우 혁신적이고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맞습니다.

Q: 중국 정부가 핀테크 육성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데이터’는 곧 ‘돈’입니다. 이 틀안에서 모든 것이 가능해진다는 뜻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의 14억 인구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어요.

물론, 자본의 해외유출이 쉽다는 점은 중국 정부로서도 민감해 하는 부분입니다. 또 몇몇 핀테크 기업들이 시장을 좌지우지하거나 너무 많은 개인정보를 가져가는 것도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머지않아 중국 정부가 자국의 핀테크 기업들에게 사용자 정보에 대한 공유를 요구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Q: 중국이 블록체인 산업 육성에도 나서고 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A: 중국은 아직까지 법적으로 가상통화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막대한 자본유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제도권 안에서의 디지털 화폐 개념으로서는 그 타당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 예로, 우리나라는 ‘한중일 디지털 싱글마켓’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3국의 소비자들은 단일 디지털 화폐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해집니다. 이 때, 중국은 자국이 개발한 디지털 화폐를 앞세워 시장을 리드하려 할 겁니다. 

본문 첨부 이미지
▲ 중국경영연구소 주최로 열린 "차이나비즈니스 세미나" 모습 ⓒ중국경영연구소

Q: 우리나라 역시도 IT 강국으로 불리고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역량이 있지 않겠습니까?

A: 모든 기술은 결국 시장이 바탕입니다. 시장이 넓으면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죠. 그런 측면에서 중국은 한국보다 넓은 시장과 인적 자원을 갖고 있습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중국과 한국의 블록체인 성장모델은 다를 수 있지만, 분명한 것은 중국이 한 발짝 나아가고 있다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하고 있지만, 정부의 의지만 가지고는 어렵습니다. 각 이해당사자들 간 타협과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국은 이러한 협력이 비교적 우리보다 원활합니다. 두 기업이 출자해 또 하나의 기업이 생겨나는 식입니다. 

Q: 마지막으로 중국경영연구소에 대해 소개하신다면?

A: 중국 시장을 모르면 현지에 진출했다 해도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국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성공한 기업의 모델은 다양한 반면, 실패의 경우는 비슷한 공통점이 많이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이에 중국경영연구소는 우리기업들의 중국 진출 성공·실패 사례를 분석해 공식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중국에서의 경영 모델은 어떤 것인지 등 보다 실전적인 정보를 체계화해 우리 기업인들에게 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
- 1971년 8월 3일 출생
- 前 주 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경제통상전문관
- 前 주 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중소벤처지원센터 소장
- 前 중국 칭화대학 경제관리학원 연구교수
- 前 KOTRA 중국시장전문위원
- 前 미국 듀크대학교 경영대학원 교환교수
-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 중소기업청, 한국무역협회 중국시장 전문위원
- 코트라 한중 FTA 전문 컨설턴트


yukp@ifeng.co.kr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한국 소식 플랫폼 - 봉황망 중한교류 채널]

출처 : 봉황망코리아 차이나 포커스 http://chinafocus.co.kr/v2/view.php?no=22636&category=2100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