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최근 중국의 모바일 게임 산업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표 게임업체 텐센트(腾讯)와 넷이즈(网易)의 양강 구도가 붕괴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 중관춘온라인(中关村在线)
17일 중관춘온라인(中关村在线)에서 인용한 미국 리서치회사 Newzoo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모바일 게임 매출액이 180억 달러(약 19조2114억원)로 전년 대비 갑절 증가했다.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산업의 3분의 1에 달하는 규모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 게임 유저의 월 평균 게임 지출액은 172위안(약 3만원)으로 미국보다 9% 높다. 2016년 미중 양국의 일인당 GDP(국내총생산)가 각각 52195달러, 6895달러로 미국이 7.6배 많은 것을 감안하면 중국인의 게임 지출 비용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중국 모바일 게임 산업이 머잖아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중국의 고령화 진행과 청년층 감소로 2020년 중국의 게임 유저 수가 2016년보다 약 3400만명 감소할 것으로 Newzoo는 예측했다.
▲ 텐센트에서 내놓은 중국의 인기 게임 "왕저룽야오(王者荣耀)" ⓒ 중관춘온라인(中关村在线)
향후 몇 년 간은 현재와 같은 급속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게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두 업체 텐센트와 넷이즈의 균형이 깨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중국 언론 환구망(环球网)은 중국 게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QQ, 위챗 등 소셜 네트워크에서도 인지도를 쌓은 텐센트가 앞으로 더욱 승승장구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게임 산업에만 치중한 넷이즈의 입지는 빠르게 약화될 것으로 추측했다.
sun.k@ifeng.co.kr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한국 소식 플랫폼 - 봉황망 중한교류 채널]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sUaHch
반응형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음주운전 사고로 사망 시 술 권한 사람도 처벌 (0) | 2018.02.19 |
---|---|
60만원으로 살 수 있는 중국 스마트폰은? (0) | 2018.02.19 |
“알리바바, 춘제 앞두고 기업 투자에 미친 듯이 돈 뿌려” (0) | 2018.02.19 |
샤오미, 삼성 대항마로 나서나...MIX 2S 엣지 스크린 장착? (0) | 2018.02.19 |
중국은 ‘귀요미 요괴’ 전성시대 (0) | 201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