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봉황망(凤凰网)에 따르면 지난 16일 중국 장쑤(江苏)에서 열린 저작권 박람회에 중국 각지에서 온 다양한 작품들이 선보였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난징관(南京馆)에서는 중국 전통 종이공예인 졘즈(剪纸)가 전시됐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이와 함께 세계무형유산인 등롱공예(灯彩) 전승자인 친준(秦淮)씨가 직접 등롱을 만드는 시간도 가졌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진룽(金陵)씨가 목판을 새기고 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완성된 목판으로 종이를 찍어내는 작업이 한창이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롄윈강전관(连云港展馆)에서는 황금빛의 위풍당당한 원숭이가 전시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롄윈강은 중국 대표 서적인 서유기(西遊記)와 경화연(镜花缘)의 본고장이기도 하다. 장쑤성의 전통극인 화이하이시(淮海戏)와 민속 음악인 하이저우우다궁(海州五大宫)은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이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롄윈강은 크리스털 조각으로도 유명하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양저우관(扬州馆)에서는 장쑤의 목각인형극이 열렸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이번 저작권 박람회의 가장 큰 특징은 글로 된 예술 작품이 대다수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서초(西楚)의 패왕 항우(項羽)의 고향은 장쑤성 북부에 위치한 쑤첸(宿迁)이다. 이곳은 오래 전부터 종이공예∙목판인쇄술∙목판화로 유명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중국의 다양한 조각 예술이 전시됐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우리나라에 고려 청자가 있다면 중국에는 이싱(宜兴) 청자가 있다. 이싱 청자를 빗는 과정도 이번 박람회의 큰 볼거리 중 하나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우시(无锡) 지방의 자수 예술은 정교하고도 아름답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권선아 중국 전문 기자 sun.k@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dsB6XZ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드라마계에 드리워진 그림자…‘출연료 과잉’과 ‘시청률 조작’ 심각 (0) | 2017.09.19 |
---|---|
'최대 79만개 기업 탄생' 중국 창업 1위 도시는? (0) | 2017.09.19 |
중국 관영 언론, “미국은 북핵 문제 ‘중국 탓’ 그만해라” (0) | 2017.09.19 |
'최대 저축액 483조원' 중국에서 저금을 가장 많이 한 도시는? (0) | 2017.09.19 |
“북한에 최대 압박 가하겠다”…시진핑, 트럼프와 약속 (0) | 2017.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