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사진출처 = 베이징 완바오(北京晚报)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베이징 시싼환루에는 백년고찰이 있다. 황허강을 마주하고 있는 이 사찰의 처마 밑에는 파란 바탕에 금색 글씨로 ‘칙건호국만수사(敕建护国万寿寺)’라고 적혀있다. 문 오른쪽에는 ‘베이징 예술박물관’이라는 간판이 걸려 있다.
중국 베이징완바오는 이곳을 직접 방문해 소개했다.
만수사는 명대 만력 5년에 지어졌으며 명과 청대부터 약 400년이라는 역사를 가진 고찰이다. 이곳은 황허강 부근에 자리잡고 있어서 황제가 자금성에서 서산 이화원을 갈 때면 항상 배를 타고 만수사를 거쳤으며, 때로는 만수사에서 여가시간을 보내기도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만수사 대문에 들어서면 양 쪽에 종루(钟楼)와 고루(鼓楼)가 있다. 명대 때 만수사의 종루에 ‘영락대종(永乐大钟)’이 걸려 있었는데 청대 건륭 8년 때 이 대종이 각생사(현 대종사)안으로 옮겨졌다. 사찰의 축선을 따라가 문을 하나 지나치면 주전(主殿)이 있는데 이 주전 안에는 여래불, 관세음과 십팔나한 등 불상이 떡 하니 자리잡고 있다. 불상들은 대다수 건륭 시기에 축조돼 3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베이징완바오에 따르면 사찰 후원(后院)에서는 중국 사찰에서 보기 드문 서양적인 풍경을 볼 수 있다. 건륭 26년 때 후원의 대문은 서양적인 색채가 띄는 석문으로 바뀌었으며, 원명원(圆明园)의 형식에 서양적 건물 축조법을 더했다. 아치형 장식은 프랑스 바로크 식의 건축 스타일에서 온 것이다.
현재 베이징 예술 박물관인 만수사에는 여러 가지 진귀한 예술품 10만건이 보관돼 있으며 특히 역대 서법회화, 비첩, 명인서찰 등 명대, 청대 시기의 예술품이 많다.
[봉황망 중한교류 채널] 곽예지 기자 yeeji1004@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중의약, 183개 나라와 지역에 전파 (0) | 2017.06.18 |
---|---|
중국 불교 교육의 핵심…’불교 엘리트’ 양성 (0) | 2017.06.18 |
[구자원의 역사칼럼] 불로장수의 상징 ‘서왕모와 상아’ (0) | 2017.06.18 |
[구자원의 중국문화칼럼] 중국의 정월대보름 ‘원소절(元宵節)’, 그 기원은? (0) | 2017.06.18 |
中 강주아오 대교 건설 막바지…’초대형 교량’ 시대 열다 (0) | 2017.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