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봉황망
하지만 예상치 못한 일들로 공사가 중지돼 2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점차 사라졌다. 다만 이 도시를 경유하는 사람들이 하룻밤 묵어가거나 갈 데 없는 이들이 모여 그들만의 삶을 이어가고 있는 장소로 전락했다.
중국 봉황망에서는 오랜 세월을 거쳐 사람들의 관심에서 비껴나간 이들의 삶을 사진을 통해 재조명해 봤다.
▲ 사진출처 = 봉황망
지난 1996년 당시 이 건물은 평당 8000위안(약 133만3000원)에 달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매우 비싼 곳이었지만 소방안전 미비, 재산권 갈등 등 악재가 겹치면서 공사가 중지됐다. 사진 속 깨진 유리창 사이로 허페이 기차역이 보인다. 기차역을 오가는 사람들은 이 건물을 흘끗 보고는 다시 바쁘게 발길을 옮긴다.
▲ 사진출처 = 봉황망
신훙안쇼핑센터의 로비에 서면 이 건물을 좀더 자세히 볼 수 있다. 지하층과 1층에는 저렴한 음식점과 여관이 즐비하고 2층엔 오랫동안 이곳에 머무는 사람들이 방을 임대해 살고 있다. 3층부터는 텅 비어있다. 간혹 주변 회사들이 일부 공간을 창고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 사진출처 = 봉황망
1층엔 아무도 치우지 않는 쓰레기가 산처럼 쌓여 있다.
▲ 사진출처 = 봉황망
▲ 사진출처 = 봉황망
복도에서 판 씨 아들이 상자 속에 들어가서 놀고 있다. 장난끼가 많은 아들은 이들 부부에게 늘 행복을 가져다 준다.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장난감이나 간식을 사주진 못하지만 아들은 이 낡은 상자 하나만으로도 하루 종일 즐겁게 놀 수 있다.
▲ 사진출처 = 봉황망
땅거미가 내려 앉자 지하층에 위치한 여관에 비로소 활기가 넘친다. 이 건물이 기차역과 가깝고 가격도 주변 다른 여관에 비해 훨씬 저렴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들러 하룻밤을 보내기 때문.
▲ 사진출처 = 봉황망
▲ 사진출처 = 봉황망
사진 속 도시락을 먹고 있는 세 사람은 안후이(安徽)성 딩위안(定远)현 출신으로, 저장(浙江)에 있는 한 패션공장에서 일하는 20대 초반의 청년들이다. 설 기간 이들이 고향에서 머물 수 있는 시간은 1주일이 채 안 되기 때문에 허름하지만 이곳에서 잠을 자고 다음 날 서둘러 출발할 계획이다. 3인실은 하루에 50위안(약 8천원)이다.
▲ 사진출처 = 봉황망
여관을 운영 중인 판 씨는 고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곳에 허페이 기차남역이 신설된 뒤 허페이 기차역 승객들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최근 손님들이 부쩍 줄었다. 임대료를 내지 못하자 이곳에서도 곧 나가야 할 처지가 됐다.
▲ 사진출처 = 봉황망
▲ 사진출처 = 봉황망
▲ 사진출처 = 봉황망
▲ 사진출처 = 봉황망
이날 저녁, 판 씨는 아버지를 모시고 이 건물에서 만난 아버지 친구와 함께 밥을 먹었다. 판 씨의 아버지는 "최근 몇 년 동안 허페이(合肥)에 머물렀는데 하오저우(豪州)에서 온 왕샹과 함께 떠돌이 생활을 했다”면서 “아이들이 나를 찾고 있는지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고 말했다.
[봉황망 중한교류 채널] 권선아 기자 sun.k@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GiZg8h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부동산업계, “충칭∙상하이, 부동산세 개혁 시범도시로 지정해야” (0) | 2017.08.03 |
---|---|
[라이프 앤] 117층 위의 “아이언맨” (0) | 2017.08.03 |
中 대학생 생활비 부모 의존도 높아 (0) | 2017.08.03 |
中 취준생, “월급보다 복지∙거주문제 해결 더 중요” (0) | 2017.08.03 |
[라이프 앤] 농촌에 사는 中 왕훙(网红)들 (0) | 2017.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