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시공안국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에서 집계한 음식 배달원 사망 교통사고가 76건에 달했다. 업계 1위인 ‘얼러머(饿了么)’와 ‘메이퇀 와이마이(美团外卖)’ 소속 배달원이 각각 26%씩 차지했다.
올해 1월 2일 오후 2시경 상하이시 퉁푸(同普)로 치롄(祁连山)산 남로 부근에서 한 오토바이 운전자인 얼러머 음식 배달원과 승용차간 사고로 음식 배달원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이어 4월 11일 저녁 9시 경 ‘다다(达达)’ 유니폼을 입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푸싱중(复兴中)로에서 쓰레기 운반 차량과 부딪혀 음식 배달원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또 5월 14일 자딩(嘉定)구에서도 교통사고가 일어나 메이퇀 와이마이의 음식 배달원이 생명을 잃었다. 이 몇몇 사건은 모두 유사한 경우였다. 음식 배달원의 교통사고로 교통법규를 위반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 상하이시공안국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에서 집계한 음식 배달원 사망 교통사고가 76건에 달했다. (출처:봉황망 봉황커지)
이에 최근 상하이 교통 경찰은 얼러머, 메이퇀, 바이두, 다다, 다오자(到家), 피자헛, KFC, 맥도널드 등 8개 음식 배달 업체와 논의를 통해 각 기업이 배달원의 교통 안전에 각별해 유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교통 경찰 측은 인터넷 음식 배달업 규모가 커지면서 각 기업이 자체적으로 직원 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상하이시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조사 중”이라며 “각 음식 배달 기업이 오토바이의 교통규범 준수 등 사고 가능성에 대한 대비를 해주지 않으면 제도 역시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시는 이번 논의를 통해 안전을 위한 교육을 늘리고 규범 준수 등에 대한 각 배달원의 마인드도 제고하도록 했다. 안전을 중시하고 배달 차량 등록 등도 엄수하도록 했다. 예컨대 얼러머가 운영하고 있는 배달원 식별 시스템 등을 통해 각 배달원과 배달차량이 증명서를 갖도록 권유했다. 또 배달원의 교통 문화 점수 제도를 도입해 위반 행위를 엄격히 점수화한다. 더 나아가 각 기업은 배달차량 등에 대한 정보를 교통부문에 제공해야 한다.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유효정 기자 hjyoo@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한국 소식 플랫폼 - 봉황망 중한교류 채널]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JkmWLG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C VR 사업 두고 군침 흘리는 중국 BAT (0) | 2017.08.28 |
---|---|
"집에서 25분이면 재판 끝" 중국 항저우의 온라인법원 (0) | 2017.08.28 |
"중국 절인 죽순의 달인" 특급 비밀 제조법 공개 (0) | 2017.08.28 |
'사랑고백'하는 AI 목걸이 중국서 개발 (0) | 2017.08.28 |
'갤럭시노트8'로 열리는 중국 공유자전거 자물쇠 등장 (0) | 2017.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