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첸하이펑 씨는 장쑤성(江苏省) 우시(无锡)에 사는 호텔 전기공이자 사진작가다. 첸 씨는 2000년도에 큰 병을 앓고 난 뒤 그 후유증으로 청력을 잃었다. 그는 한 때 병을 고치기 위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기도 했지만 이후 여생을 좀더 의미 있게 보내자는 일념 하에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또 다른 중국을 사진에 담고 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중국의 첫 고속열차가 개통된 2008년, 그는 오히려 중국에서 가장 저렴한 녹피기차(绿皮火车·에어컨 없는 녹색 구식기차)를 타고 기차 안의 이채로운 모습을 사진으로 찍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첸 씨는 “녹피기차를 타고 난징(南京)에서 우루무치(乌鲁木齐)까지 가는 데 174위안(약 2만8800원) 정도 들었다”며 “이 가격으로 고속열차 일등석에 타면 상하이에서 난징까지밖에 갈 수 없다”고 말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지난 10년 동안 그는 녹피기차 속 중국의 이면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힘썼다. 총 20만 장에 달하는 그의 사진들은 롄저우(连州) 국제사진제에서 상을 수여받기도 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설 연휴 때마다 기차 안에는 귀성길에 오른 사람들로 북적인다. 늦은 밤, 피곤함을 이기지 못한 사람들이 좁은 의자 위에 몸을 누이고 깊은 잠에 빠졌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2008년 7월 21일, 쉬저우(徐州)에서 하얼빈(哈尔滨)으로 가는 1470편 열차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2013년 11월 12일, 카스(喀什)에서 우루무치(乌鲁木齐)로 가는 7558편 열차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녹피기차는 대다수 도시민들의 뇌리에서 잊혀진 지 오래다. 첸 씨는 주변 사람들에게 녹피기차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기 전에 꼭 한 번 타보길 권한다. 첸 씨는 “하루하루 힘든 나날을 보내는 저소득층이 아침 일찍 혹은 늦은 밤 녹피기차를 타고 출퇴근한다는 사실을 잊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권선아 기자 sun.k@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9V2xq9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징(北京)시, 사상 첫 ‘계약직’ 소방관 모집 (0) | 2017.07.24 |
---|---|
온라인 쇼핑몰 `징둥(京东), 중국 전역 편의점 100만 개 세운다 (0) | 2017.07.24 |
中 올 상반기 석탄 소비 반등…18.3억톤 소비 (0) | 2017.07.24 |
중국서 1년 중 `6월` 폭염일수 최다 (0) | 2017.07.24 |
中 여행객, 5A급 관광지보다 테마파크에서 더 많이 소비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