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최근 허난(河南)성 안양(安阳) 중국 문자박물관은 아직 해독하지 못한 갑골문을 해독하는 사람에게 한 단어당 현상금 10만 위안(약 1660만원)을 제공한다고 공고했다. 현재 논쟁 중인 갑골문에 대해서는 한 단어당 5만 위안(약 831만원)을 지급한다.
공고문에 따르면 이러한 현상금을 내건 이유는 국내외에서 갑골문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열정·적극성·창의성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다. 최근 갑골문 해독연구가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갑골문의 해독발전에 큰 어려움이 생겼다. 이에 따라 중국 문자박물관은 2016년 10월 28일부터 갑골문 해독 성과 특별장려프로젝트를 마련했다.
▲ 사진출처 = 봉황망(凤凰网)
현상금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해독만 해서는 안 된다. 먼저 평가원이 '갑골문 해독성과 과학 논증 보고서'를 써야 하며 수석 전문가 2명의 추천을 받아야만 중국 문자박물관에 신청할 수 있다. 합법적인 갑골문에 대한 연구 성과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갑골문과 은상(殷商)역사를 오랫동안 연구해 온 톈진(天津) 난카이대학(南开大学) 역사학과 주(朱) 교수는 "현재 발견된 갑골문은 총 5000개 단어로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는 단어는 약 1500개"이라며 "갑골문을 쓰던 시대에 사용한 도구 중 현존하는 것이 없어 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독 완료한 갑골문 외에 나머지 글자를 해독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빅데이터 등 과학기술과 기존의 연구수단을 이용하면 해독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공개된 갑골문을 본 네티즌은 "오늘부터 갑골문을 파헤쳐보자", "지렁이 글씨", "정말 풀고 싶다", "기술이 더 발전하면 정말 풀 수 있을지도" 등의 반응을 보였다.
[봉황망코리아 차이나포커스] 최예지 기자 rz@ifeng.co.kr
[ⓒ 봉황망코리아미디어 & chinafocu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봉황망코리아 ㅣ 차이나포커스 https://goo.gl/2YUCBH
'한국發 중국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만능 카드` 발급 (0) | 2017.07.21 |
---|---|
리커창, 전 뉴질랜드 총리 만나…외교 영향력 넓히는 중국 (0) | 2017.07.21 |
돈 한 푼 안 들이고 ‘88888’ 차 번호판 획득한 中 남성 화제 (0) | 2017.07.21 |
中 상반기 경제성장, 소비가 63.4% 기여…온라인 소매 매출액 ‘껑충’ (0) | 2017.07.21 |
중국-아프리카 산업인큐베이터 중국 중소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에 일조 (0) | 2017.07.20 |